▲ 증여세 신고기간
아무 대가 없이 재산을 받은 날, 즉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까지다. 예컨대 2021년 5월 12일에 증여됐다면, 5월 말일부터 3개월 후이기 때문에 2021년 8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한다.
▲ 증여세 신고서류
일단 개인적으로 시간이 많거나 세금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은 스스로 준비하기도 한다. 하지만 진짜 어려우면 관할 세무서에 문의하거나 세무사사무소에 의뢰하는 것도 방법이다.
① 증여자(등기의무인)
- 인감도장, 임감증명서, 주민등록초본, 가족관계증명서, 등기권리증
② 수증자(등기권리자)
- 도장, 주민등록등본
③ 기타 서류
- 증여계약서 3통 작성,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, 등기권리증, 토지대장, 건축물관리대장
'돈이 되는 절세 > 증여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족 간 부동산 증여와 이월과세 (0) | 2022.01.04 |
---|---|
단 하루가 납세자를 곤경에 빠뜨린다 (0) | 2022.01.04 |
창업자금과 증여세 (0) | 2022.01.03 |
연금보험 명의변경과 증여세 (0) | 2022.01.03 |
증여세 절세 사례 완벽 해부 (0) | 2022.01.03 |
댓글